맨위로가기

살라미스 해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살라미스 해전은 기원전 480년, 페르시아의 그리스 침공 과정에서 일어난 해전으로, 그리스 연합군이 페르시아 제국을 상대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둔 전투이다. 이오니아 반란을 계기로 그리스를 정복하려던 페르시아의 크세르크세스 1세는 대규모 군대를 이끌고 침공했으나, 테르모필레 전투 이후 살라미스 해협으로 유인되어 해상에서 패배했다. 그리스는 아테네를 중심으로 함대를 구축, 좁은 해협의 지형적 이점을 활용하여 페르시아 함대의 기동성을 제한하고, 결국 페르시아의 퇴각을 이끌어냈다. 이 승리로 아테네는 해상 강국으로 부상하고, 이후 델로스 동맹을 결성하여 에게 해에서 페르시아의 세력을 약화시켰다. 살라미스 해전은 서구 문명의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역사적 사건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480년 - 테르모필레 전투
    테르모필레 전투는 기원전 480년 그리스-페르시아 전쟁 중 벌어진 전투로, 페르시아의 침공에 맞서 레오니다스 1세가 이끄는 소수의 그리스 연합군이 테르모필레 협곡에서 결사항전했으나 패배했고, 이후 살라미스 해전과 플라타이아 전투 승리에 기여했다.
  • 기원전 480년 - 아르테미시온 해전
    아르테미시온 해전은 기원전 480년 제2차 페르시아 전쟁 중 그리스 연합 함대와 페르시아 제국 함대가 에우보이아 섬 북쪽 아르테미시온 해협에서 테르모필레 전투와 동시에 3일간 벌인 해전으로, 승패는 가리지 못했으나 그리스 해군이 페르시아 해군에 맞서 싸우며 자신감을 얻고 살라미스 해전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경험을 쌓았다.
  • 살라미나섬 - 아이아스 (대)
    아이아스 (대)는 그리스 신화의 영웅으로, 텔라몬과 헤시오네의 아들이자 아킬레우스의 사촌이며, 《일리아스》에서 용맹을 떨쳤으나 아킬레우스의 유품 경쟁에서 오디세우스에게 패배 후 자살했고, 소포클레스의 비극 《아이아스》와 아이안테이아 축제, 다양한 예술 작품을 통해 기려진다.
  • 살라미나섬 - 텔라몬
    텔라몬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배다른 형제 살해 후 추방되어 살라미스 왕의 딸과 결혼하여 아이아스를 낳았으며, 헤라클레스와 함께 아마조네스 원정과 트로이 침공에 참여하고, 건축 용어로는 기둥으로 사용되는 남성 조각상을 의미한다.
  • 사로니코스만 - 사로니코스 제도
    사로니코스 제도는 사로니코스만과 아르골리다만 사이에 위치하며 살라미나, 에기나 등을 포함한 섬들로 구성되고, 살라미스 해전의 무대로 알려져 있으며, 그리스 부호들의 별장과 페리 운항이 특징이다.
  • 사로니코스만 - 에기나
    에기나는 사로니코스 만에 위치한 살로니카 제도에서 가장 큰 섬으로, 기원전 2000년경부터 미노스 문명의 영향을 받았으며, 해상 무역의 중심지로 번성하다 아테네와의 경쟁에서 패배했고, 현재는 포도, 올리브, 피스타치오를 생산하며 관광객들에게 인기가 높은 섬이다.
살라미스 해전 - [전쟁]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전투 정보
전투살라미스 해전
전역제2차 그리스-페르시아 전쟁
날짜기원전 480년 9월 26일 또는 27일
장소살라미스 해협
결과그리스의 승리
교전 세력그리스 도시 국가 연합 vs 아케메네스 왕조
지휘관 및 지도자
그리스 연합군에우리비아데스, 테미스토클레스
아케메네스 제국크세르크세스 1세, 테트람네스토스, 카리아의 아르테미시아 1세, 아카에메네스 (사트라프), 아리아비그네스 (전사), 다마시티모스 (전사)
병력 규모
그리스 연합군371–378척
아케메네스 제국약 900–1207척 (고대 자료 기준), 600–800척 (현대 추정), 400–700척 (현대 추정)
피해 규모
그리스 연합군40척
아케메네스 제국300척
기타 정보
살라미스 해전 지도
살라미스 해전 주요 전장 묘사 지도

2. 배경

기원전 499년부터 기원전 494년까지 다리우스 1세 치하의 페르시아 제국에 대항하여 일어난 이오니아 반란은 아테네와 에레트리아를 포함한 그리스 도시 국가들의 지원을 받았다.[9] 페르시아 제국은 비교적 젊었고, 지배를 받는 민족들 사이에서 반란이 일어나기 쉬웠다. 다리우스는 찬탈자였고, 그의 통치에 반대하는 반란을 진압하는 데 상당한 시간을 보냈다.[1] 이오니아 반란은 그의 제국의 통합성을 위협했고, 다리우스는 이에 연루된 자들을 처벌하겠다고 맹세했다.[10][1] 다리우스는 또한 분열된 고대 그리스 세계로 제국을 확장할 기회를 보았다.[11]

upright


기원전 492년에 마르도니우스가 이끄는 예비 원정은 트라키아를 정복하고 마케도니아를 페르시아의 속국으로 만들었다.[12] 기원전 491년, 다리우스는 모든 그리스 도시 국가에 사절을 보내 복종의 표시로 '땅과 물'을 바칠 것을 요구했다.[13] 대부분의 그리스 도시들이 이를 따랐으나, 아테네에서는 대사들이 처형되었고, 스파르타에서는 우물에 던져졌다.[1] 이는 스파르타 역시 페르시아와 전쟁 상태임을 의미했다.[1]

다리우스는 기원전 490년에 다티스와 아르타페르네스 휘하의 수륙 양용 부대를 편성하여 낙소스를 공격한 후 다른 키클라데스 섬들의 항복을 받았다. 그 후 이 부대는 에레트리아를 포위하여 파괴했다.[14] 마지막으로, 마라톤 만에 상륙하여 아테네를 공격하려 했으나, 마라톤 전투에서 아테네 군에게 패배하고 아시아로 철수했다.[15]

전투 당시의 그리스 세계를 보여주는 지도


다리우스는 그리스 정복을 위한 새 군대를 소집했지만, 기원전 486년에 이집트 신하들이 반란을 일으켜 원정이 연기되었다.[16] 다리우스는 이집트로 진군을 준비하던 중 사망했고, 왕위는 크세르크세스 1세에게 넘어갔다.[17] 크세르크세스는 이집트 반란을 진압하고 그리스 침공 준비를 재개했다.[18] 헬레스폰트 해협에 다리를 건설하고, 아토스 산의 지협에 운하를 파는 등 야심찬 업적을 이루었다.[1] 기원전 480년 초, 준비가 완료되었고, 크세르크세스가 사르디스에 소집한 군대는 헬레스폰트를 건너 유럽으로 진군했다.[20]

아테네인들은 기원전 480년대 중반부터 전쟁을 준비했고, 기원전 482년에는 테미스토클레스의 지도 아래 대규모 삼단노선 함대를 건조하기로 결정했다.[21] 기원전 481년, 크세르크세스는 그리스 전역에 사절을 보냈지만, 아테네와 스파르타는 제외했다.[22] 그 해 늦가을 코린트에서 도시 국가 회의가 열렸고, 그리스 도시 국가의 연합 동맹이 결성되었다.[23]

동맹국들은 테르모페일 협곡을 방어하고, 크세르크세스의 진격을 막는 전략을 채택했다.[25] 그러나 마케도니아의 알렉산드로스 1세로부터 우회로와 페르시아 군의 압도적인 병력에 대한 경고를 받고 후퇴했다.[26] 이후, 남부 그리스로 가는 경로는 테르모필레의 좁은 통로를 통과해야 했고, 이를 그리스 중장보병들이 막을 수 있었다. 또한, 페르시아 군이 바다를 통해 테르모필레를 우회하는 것을 막기 위해 아테네와 연합 해군은 아르테미시움 해협을 막았다.[27] 테르모필레 전투에서 그리스 군은 사흘 동안 협곡을 지켰지만, 산길을 통해 우회당했고, 후위대는 포위되어 전멸했다.[29]

2. 1. 그리스-페르시아 전쟁의 발발

기원전 499년부터 기원전 494년까지 다리우스 1세 치하의 페르시아 제국에 대항하여 일어난 이오니아 반란은 아테네와 에레트리아를 포함한 그리스 도시 국가들의 지원을 받았다.[9] 페르시아 제국은 비교적 젊었고, 지배를 받는 민족들 사이에서 반란이 일어나기 쉬웠다.[9]다리우스는 찬탈자였고, 그의 통치에 반대하는 반란을 진압하는 데 상당한 시간을 보냈다.[1] 이오니아 반란은 그의 제국의 통합성을 위협했고, 다리우스는 이에 연루된 자들을 처벌하겠다고 맹세했다.[10][1] 다리우스는 또한 분열된 고대 그리스 세계로 제국을 확장할 기회를 보았다.[11]

기원전 492년에 마르도니우스가 이끄는 예비 원정은 트라키아를 정복하고 마케도니아를 페르시아의 속국으로 만들었다.[12] 기원전 491년, 다리우스는 모든 그리스 도시 국가에 사절을 보내 복종의 표시로 '땅과 물'을 바칠 것을 요구했다.[13] 대부분의 그리스 도시들이 이를 따랐으나, 아테네에서는 대사들이 처형되었고, 스파르타에서는 우물에 던져졌다.[1] 이는 스파르타 역시 페르시아와 전쟁 상태임을 의미했다.[1]

다리우스는 기원전 490년에 다티스와 아르타페르네스 휘하의 수륙 양용 부대를 편성하여 낙소스를 공격한 후 다른 키클라데스 섬들의 항복을 받았다. 그 후 이 부대는 에레트리아를 포위하여 파괴했다.[14] 마지막으로, 마라톤 만에 상륙하여 아테네를 공격하려 했으나, 마라톤 전투에서 아테네 군에게 패배하고 아시아로 철수했다.[15]

다리우스는 그리스 정복을 위한 새 군대를 소집했지만, 기원전 486년에 이집트 신하들이 반란을 일으켜 원정이 연기되었다.[16] 다리우스는 이집트로 진군을 준비하던 중 사망했고, 왕위는 크세르크세스 1세에게 넘어갔다.[17] 크세르크세스는 이집트 반란을 진압하고 그리스 침공 준비를 재개했다.[18] 헬레스폰트 해협에 다리를 건설하고, 아토스 산의 지협에 운하를 파는 등 야심찬 업적을 이루었다.[1] 기원전 480년 초, 준비가 완료되었고, 크세르크세스가 사르디스에 소집한 군대는 헬레스폰트를 건너 유럽으로 진군했다.[20]

아테네인들은 기원전 480년대 중반부터 전쟁을 준비했고, 기원전 482년에는 테미스토클레스의 지도 아래 대규모 삼단노선 함대를 건조하기로 결정했다.[21] 기원전 481년, 크세르크세스는 그리스 전역에 사절을 보냈지만, 아테네와 스파르타는 제외했다.[22] 그 해 늦가을 코린트에서 도시 국가 회의가 열렸고, 그리스 도시 국가의 연합 동맹이 결성되었다.[23]

동맹국들은 테르모페일 협곡을 방어하고, 크세르크세스의 진격을 막는 전략을 채택했다.[25] 그러나 마케도니아의 알렉산드로스 1세로부터 우회로와 페르시아 군의 압도적인 병력에 대한 경고를 받고 후퇴했다.[26] 이후, 남부 그리스로 가는 경로는 테르모필레의 좁은 통로를 통과해야 했고, 이를 그리스 중장보병들이 막을 수 있었다. 또한, 페르시아 군이 바다를 통해 테르모필레를 우회하는 것을 막기 위해 아테네와 연합 해군은 아르테미시움 해협을 막았다.[27] 테르모필레 전투에서 그리스 군은 사흘 동안 협곡을 지켰지만, 산길을 통해 우회당했고, 후위대는 포위되어 전멸했다.[29]

2. 2. 크세르크세스의 침공과 그리스의 대응

다리우스 1세의 죽음 이후 왕위를 계승한 크세르크세스 1세는 이집트 반란을 진압하고 그리스 침공 준비를 재개했다.[18] 전면적인 침공을 위해 장기적인 계획, 비축, 징병이 필요했다.[1] 헬레스폰트 해협에 다리를 건설하고, 아토스 산 지협에 운하를 파는 등 야심찬 업적을 달성했다.[1][19] 기원전 480년 초, 준비를 완료하고 사르디스에서 소집된 군대를 이끌고 유럽으로 진군했다.[20]

아테네는 기원전 480년대 중반부터 페르시아와의 전쟁을 준비해왔으며, 테미스토클레스의 지도 아래 대규모 삼단노선 함대를 건조했다.[21] 그리스 도시 국가들은 연합하여 페르시아에 대항하였고, 기원전 481년 늦가을 코린트에서 회의를 열어 동맹을 결성했다.[23][24]

연합군은 템페 계곡 방어를 포기하고, 테르모필레 협곡과 아르테미시온 해협을 방어하는 이중 전략을 채택했다.[25][26][27] 테르모필레 전투에서 그리스 군대는 후위대가 전멸할 때까지 페르시아 군에 맞서 싸웠고,[29] 아르테미시온 해전에서도 큰 손실을 입고 퇴각했다.[30][31] 이로써 페르시아는 보이오티아와 아티케를 정복할 수 있었다. 그리스 함대는 살라미스섬 근처로 물러났고, 연합군은 코린토스 지협 방어를 준비했다.[28]

3. 양측의 전력

기원전 480년, 페르시아는 그리스를 압도하고 단일 원정으로 정복을 완료하려는 전략을 가지고 있었다.[86] 반면 그리스는 제한된 지역을 방어하고 페르시아군을 최대한 오래 묶어두어 수적 우위를 활용하려 했다.[87] 테르모필레 전투는 그리스의 방어에 유리했지만, 측면 공격에 취약함을 드러냈다.[1] 따라서 크세르크세스는 해군을 통해 그리스 군의 측면을 공격하고, 그리스의 항복을 받아내려 했다.[1] 그리스는 페르시아 함대를 격파하거나 무력화시켜 침략을 저지하려 했다.[90]

카리아아르테미시아 1세는 크세르크세스에게 해상 전투는 불필요한 위험이라고 조언했다.[91] 그러나 양측 모두 해상 전투에 모든 것을 걸 준비가 되어 있었다.[92]

페르시아군은 수적 우세와 뛰어난 항해술을 바탕으로 전술적 우위에 있었다.[93] 당시 해상 전술은 충돌(삼단노선은 뱃머리에 충각을 장착)하거나 선상 해병대의 탑승이었다.[95] 페르시아는 디에크플루스라는 기동을 사용했는데, 이는 적함 사이의 틈으로 노를 저어 측면을 공격하는 것이다.[1]

동맹 함대는 무겁고 기동성이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았는데, 이는 선체 크기, 물에 잠김, 또는 호플리테 해병대의 무게 때문일 수 있다.[1] 이러한 무거움은 디에크플루스 사용을 어렵게 했고, 따라서 동맹군은 해병대를 더 많이 탑승시켰을 가능성이 있다.[1] 그리스인들은 페르시아군을 좁은 지역으로 유인하여 수적 우위를 무력화시키려 했다.[1]

== 그리스 연합 함대 ==

헤로도토스는 그리스 연합 함대에 378척의 트리에레가 있었다고 기록하며, 도시 국가별 함선 수를 제시한다.[50] 그러나 개별 도시 국가의 함선 수를 모두 합하면 371척이다. 헤로도토스는 살라미스 해전에서 378척 모두가 참전했다고 명시하지 않았고,[1] 아이기나에 12척의 수비대가 남았다는 점을 고려하면[51] 이 차이는 설명될 수 있다. 아르테미시움 해전과 살라미스 해전 직전에 각각 1척씩, 총 2척의 배가 페르시아에서 그리스로 귀순하여[52] 살라미스 해전 당시 그리스 함대의 총 함선 수는 373척(또는 380척)이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살라미스 해전에 직접 참전했던 아테네의 극작가 아이스킬로스는 그리스 함선이 310척이었다고 주장하며,[53] 크테시아스는 아테네 함선이 110척이었다고 주장한다.[1] 히페레이데스는 그리스 함대가 220척이었다고 주장한다.[54]

그리스 함대는 사실상 테미스토클레스가 지휘했지만, 명목상 지휘권은 스파르타 귀족 에우리비아데스에게 있었다.[55]

도시함선 수|도시함선 수|도시함선 수
아테네[56]180코린토스[57][58]40아이기나[59]30
칼키스[1][1]20메가라[1][60]20스파르타[1]16
시키온[1]15에피다우로스[1]10에레트리아[1]7
암브라키아[1]7트로이젠[1]5낙소스[1]4
레우카스[1]3에르미오니[1]3스티라[1]2
키트노스[1]1 (1)케오스[1]2 (2)멜로스[61][1](2)
시프노스[1][1](1)세리포스[1][1](1)크로톤[62]1
총계371 또는 378[1] (5)

일반 숫자는 트리에레를 나타내고, 괄호 안에 표시된 숫자는 펜테콘테르 (50개 노를 가진 갤리선)이다.

삼단노선(복원)


삼단노선(모형)
그리스 연합 함대의 주력 함선


== 페르시아 함대 ==

페르시아 함대는 페니키아 300척, 이집트 200척, 키프로스 150척, 킬리키아 100척, 이오니아 100척, 헬레스폰토스 프리지아 100척, 카리아 70척, 아이올리아 60척, 리키아 50척, 팜필리아 30척, 도리아 30척, 키클라데스 17척 등 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되어 총 1,207척의 함선을 보유했다.[77] 리키아의 군주 키베르니스(기원전 520~480년)는 아케메네스 함대에서 50척의 리키아 선박을 이끌었다.

리키아의 군주 키베르니스( 기원전 520~480년)는 아케메네스 함대에서 50척의 리키아 선박을 이끌었다.


보스포루스 해협에서 페르시아군과 합류하는 이오니아 함대. 기원전 513년 다리우스 1세의 유럽 스키타이 원정을 준비하는 모습이며, 살라미스 해전의 아케메네스 함대의 일부였다. 19세기 삽화.


국가선박 수
페니키아300
이집트200
키프로스150
킬리키아100
이오니아100
헬레스폰토스 프리지아100
카리아70
아이올리아60
리키아50
팜필리아30
도리아30
키클라데스17
총계1207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페르시아 함대는 처음에 1,207척의 삼단 노선으로 구성되었으나,[63] 마그네시아 (지방) 해안에서 폭풍으로 약 3분의 1,[64] 에우보이아 해안에서 폭풍으로 200척,[65] 아르테미시온 해전에서 최소 50척을 잃었다.[1][66] 헤로도토스는 손실이 보충되었다고 주장하지만,[67] 트라키아 등에서 온 120척만 언급한다.[68] 아이스킬로스는 1,207척(그 중 207척은 "빠른 배")과 교전했다고 주장한다.[69] 디오도로스 시켈로스[70]와 리시아스[71]는 도리스코스에 1,200척, 이소크라테스는 도리스코스에 1,300척, 살라미스에 1,200척이 있었다고 주장한다.[73][74] 크테시아스는 1,000척,[75] 플라톤은 1,000척 이상을 언급한다.[76]

1,207척이라는 숫자는 초기부터 일관되게 나타나며, 그리스인들은 실제로 그만큼의 배와 마주쳤다고 믿었던 것으로 보인다.[78][79][80] 일부 역사가는 1,207척을 수용하지만,[78][79][80] 다른 이들은 이 숫자를 일리아스의 그리스 함대를 지칭하는 것으로 보며, 페르시아 함대가 600척 정도였을 것이라고 주장한다.[1][81][82] 살라미스에 그렇게 많은 배가 있었다는 것을 받아들이는 사람은 거의 없으며, 대부분 600~800척 사이를 선호한다.[83][84][85] 아르테미시온 이후 페르시아 배의 대략적인 숫자(~550)에 헤로도토스가 정량화한 증원군(120)을 더하면 670척 정도가 된다.[1]

합계684척



크세르크세스 1세는 살라미스 섬에서 그리스 본토로 배를 연결하여 부교를 만들려고 했기에, 30단 노선, 50단 노선, 말 수송선은 아직 많이 남아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3. 1. 그리스 연합 함대

헤로도토스는 그리스 연합 함대에 378척의 트리에레가 있었다고 기록하며, 도시 국가별 함선 수를 제시한다.[50] 그러나 개별 도시 국가의 함선 수를 모두 합하면 371척으로, 7척의 차이가 발생한다. 헤로도토스는 살라미스 해전에서 378척 모두가 참전했다고 명시하지 않았고,[1] 아이기나에 12척의 수비대가 남았다는 점을 고려하면[51] 이 차이는 설명될 수 있다. 아르테미시움 해전과 살라미스 해전 직전에 각각 1척씩, 총 2척의 배가 페르시아에서 그리스로 귀순하여[52] 살라미스 해전 당시 그리스 함대의 총 함선 수는 373척(또는 380척)이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살라미스 해전에 직접 참전했던 아테네의 극작가 아이스킬로스는 그리스 함선이 310척이었다고 주장하며,[53] 크테시아스는 아테네 함선이 110척이었다고 주장한다.[1] 히페레이데스는 그리스 함대가 220척이었다고 주장한다.[54]

그리스 함대는 사실상 테미스토클레스가 지휘했지만, 기원전 481년 회의의 결정에 따라 명목상 지휘권은 스파르타 귀족 에우리비아데스에게 있었다.[55] 테미스토클레스가 지휘권을 주장하려 했으나 다른 도시 국가들의 반대로, 해군 전통이 없는 스파르타가 타협안으로 함대를 지휘하게 되었다.[1]

도시함선 수|도시함선 수|도시함선 수
아테네[56]180코린토스[57][58]40아이기나[59]30
칼키스[1][1]20메가라[1][60]20스파르타[1]16
시키온[1]15에피다우로스[1]10에레트리아[1]7
암브라키아[1]7트로이젠[1]5낙소스[1]4
레우카스[1]3에르미오니[1]3스티라[1]2
키트노스[1]1 (1)케오스[1]2 (2)멜로스[61][1](2)
시프노스[1][1](1)세리포스[1][1](1)크로톤[62]1
총계371 또는 378[1] (5)

일반 숫자는 트리에레를 나타내고, 괄호 안에 표시된 숫자는 펜테콘테르 (50개 노를 가진 갤리선)이다.

3. 2. 페르시아 함대

페르시아 함대는 페니키아 300척, 이집트 200척, 키프로스 150척, 킬리키아 100척, 이오니아 100척, 헬레스폰토스 프리지아 100척, 카리아 70척, 아이올리아 60척, 리키아 50척, 팜필리아 30척, 도리아 30척, 키클라데스 17척 등 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되어 총 1,207척의 함선을 보유했다.[77] 리키아의 군주 키베르니스(기원전 520~480년)는 아케메네스 함대에서 50척의 리키아 선박을 이끌었다.

국가선박 수
페니키아300
이집트200
키프로스150
킬리키아100
이오니아100
헬레스폰토스 프리지아100
카리아70
아이올리아60
리키아50
팜필리아30
도리아30
키클라데스17
총계1207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페르시아 함대는 처음에 1,207척의 삼단 노선으로 구성되었으나,[63] 마그네시아 (지방) 해안에서 폭풍으로 약 3분의 1,[64] 에우보이아 해안에서 폭풍으로 200척,[65] 아르테미시온 해전에서 최소 50척을 잃었다.[1][66] 헤로도토스는 손실이 보충되었다고 주장하지만,[67] 트라키아 등에서 온 120척만 언급한다.[68] 아이스킬로스는 1,207척(그 중 207척은 "빠른 배")과 교전했다고 주장한다.[69] 디오도로스 시켈로스[70]와 리시아스[71]는 도리스코스에 1,200척, 이소크라테스는 도리스코스에 1,300척, 살라미스에 1,200척이 있었다고 주장한다.[73][74] 크테시아스는 1,000척,[75] 플라톤은 1,000척 이상을 언급한다.[76]

1,207척이라는 숫자는 초기부터 일관되게 나타나며, 그리스인들은 실제로 그만큼의 배와 마주쳤다고 믿었던 것으로 보인다.[78][79][80] 일부 역사가는 1,207척을 수용하지만,[78][79][80] 다른 이들은 이 숫자를 일리아스의 그리스 함대를 지칭하는 것으로 보며, 페르시아 함대가 600척 정도였을 것이라고 주장한다.[1][81][82] 살라미스에 그렇게 많은 배가 있었다는 것을 받아들이는 사람은 거의 없으며, 대부분 600~800척 사이를 선호한다.[83][84][85] 아르테미시온 이후 페르시아 배의 대략적인 숫자(~550)에 헤로도토스가 정량화한 증원군(120)을 더하면 670척 정도가 된다.[1]

합계684척



크세르크세스 1세는 살라미스 섬에서 그리스 본토로 배를 연결하여 부교를 만들려고 했기에, 30단 노선, 50단 노선, 말 수송선은 아직 많이 남아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4. 전투 과정

테미스토클레스의 속임수로 페르시아 함대는 살라미스 해협에 진입하여 두 입구를 막으려 하였다. 그러나 해협이 너무 비좁았기 때문에 페르시아의 군함들이 이동하려 하면서 흩어져버려 오히려 이들의 수적 우세는 장애가 되어버렸다.[1] 기회를 놓치지 않고 그리스 함대는 전열을 이루어 페르시아에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으며, 최소한 200여척이 넘는 페르시아 함선이 침몰하거나 나포되었다.

살라미스 해전의 그리스 삼단노선


빌헬름 폰 카울바흐의 살라미스 해전 (세부 묘사)


기원전 480년 9월 20일경(29일 설도 있음) 새벽, 테미스토클레스의 훈시 이후 그리스의 모든 함선은 정박지에서 일제히 출격했다. 페르시아 함대는 그리스 함선의 출격을 알자 키노스라 반도를 넘어 살라미스 해협으로 침입했다.

그리스군은 페르시아 함대를 확인하자 역노를 저어 페르시아 함대와 반대 방향, 즉 살라미스 섬의 육지 쪽으로 향하는 움직임을 보였다. 이에 대해 플루타르코스는 테미스토클레스가 이 해협에 특정 시간이 되면 부는 바람 (시로코)을 이용하기 위해 페르시아 함대를 앞에 두고 역노를 저어 후퇴하며 시간을 벌었다고 설명했다.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그리스 측은 서쪽 날개에 아테네 함대, 동쪽 날개에 스파르타 함대를 배치했고, 이에 맞서는 페르시아 측의 포진은 서쪽 날개에 페니키아 함대, 동쪽 날개에 이오니아 연합 함대가 전개하는 것이었다.

전투의 시작에 대해 헤로도토스는 여러 설을 전하고 있다. 아테네에 따르면, 아테네 선박 1척이 전열을 벗어나 페르시아 함대에 돌진했고, 다른 함선들도 이를 구원하기 위해 돌입하면서 전투가 시작되었다고 한다. 또한 아이기나에 따르면, 신령을 맞이하여 아이기나에서 온 아이기나 삼단노선이 페르시아 함선과 첫 전투를 벌였다고 한다. 또한, 그리스군의 눈앞에 한 여성이 나타나 전군을 고무 격려했다고 전해진다.

실제 전투가 살라미스 해협의 어디에서 벌어졌는지, 전 세력이 격돌했는지, 아니면 포위선을 그리스 함대가 돌파했는지에 대해서는 예로부터 여러 설이 있으며, 헤로도토스도 구체적인 기술을 남기지 않아 불분명하다. 그러나 헤로도토스는 페르시아 함대의 패인으로 전열의 혼란을 들고 있다.

플루타르코스가 테미스토클레스가 바람을 기다렸다는 기록을 남긴 것을 고려하면, 함선에 직접 타격을 가하기 위해 흘수가 깊고 무거운 구조의 그리스 함선에 비해, 병사를 적선에 올리기 위해 무게 중심이 높은 구조로 된 페르시아 함선은 시로코로 인한 높은 파도, 그리고 일몰 전에는 마이스트로라고 불리는 서풍으로 인한 높은 파도로 인해 마음대로 움직일 수 없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전투 해역도 대 함대를 유도하기에는 너무 좁았고, 전열이 흐트러진 틈을 타 그리스 함대의 선박 간 돌파 전법을 받았다고 생각된다.

이 전투에서 명성을 얻은 것은 아이기나 함대와 아테네 함대였다. 아테네의 장군 아리스테이데스는 살라미스 해안에 배치되어 있던 중장보병을 이끌고 프쉬탈레이아 섬에 상륙하여 페르시아 보병을 전멸시켰다.

패전을 깨달은 크세르크세스 1세는 해가 지자 함대를 팔레론 만까지 후퇴시키고, 전투는 종결되었다.



헤로도토스는 할리카르나소스의 여왕이자 카리아 분견대의 지휘관인 아르테미시아 1세가 아테네의 아메이니아스가 이끄는 배에 쫓기는 상황에 처했다고 전한다. 탈출하려는 그녀는 다른 페르시아 선박을 공격하고 충돌하여 아테네 선장이 그 배가 아군이라고 믿게 만들었다.[122] 크세르크세스는 다른 함장들의 저조한 성과를 보고 "내 부하들은 여자가 되었고, 내 여자들은 남자가 되었다"고 말했다.[123]

4. 1. 전투 전의 상황

테미스토클레스의 계략으로 페르시아 함대는 살라미스 해협에 진입하여 양쪽 입구를 봉쇄하려 했다.[1] 그러나 해협이 너무 비좁아 페르시아 군함들이 이동하면서 흩어져, 수적 우세가 오히려 불리하게 작용했다.[1] 그리스 함대는 이 기회를 틈타 전열을 갖추고 페르시아 함대에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1]

연합 함대는 아르테미시온에서 아테네의 마지막 대피를 돕기 위해 살라미스로 이동했다. 테미스토클레스는 페르시아 함대의 이오니아 그리스인 선원들이 잠시 멈출 수 있는 모든 샘에 연합군에 합류할 것을 요청하는 비문을 남겼다.[32] 테르모필레 전투 이후, 페르시아군은 보에오티아의 도시들(플라타이아, 테스피아이)을 약탈하고 아테네로 진군했다.[33] 펠로폰네소스 중심의 동맹군은 코린토스 지협을 방어하기 위해 유일한 길을 파괴하고 벽을 건설했다.[34] 그러나 이 전략은 연합 함대가 페르시아 함대의 병력 수송을 막지 못하면 무용지물이었다. 아테네 대피 후 열린 회의에서 코린토스 해군 사령관 아데이만토스는 지협 해안에 함대를 집결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35] 테미스토클레스는 페르시아 해군을 결정적으로 파괴하는 공격적인 전략을 옹호하며 "'좁은 조건에서의 전투는 우리에게 유리하다'"고 주장했다.[1] 결국 연합 해군은 살라미스 해안에 남았다.[36]

살라미스 해전의 정확한 시기는 확정하기 어렵다.[1] 헤로도토스는 전투가 아테네 점령 직후에 일어난 것처럼 묘사하지만, 명시적으로 밝히지는 않았다. 테르모필레/아르테미시온 전투가 9월에 발생했다면, 페르시아군이 아테네를 점령하고 함대를 재정비하는 데 2~3주가 걸렸을 가능성이 높다.[37] 크세르크세스는 아테네 점령 후 팔레룸에서 페르시아 함대와 전쟁 회의를 열었다.[1] 할리카르나소스의 여왕이자 크세르크세스 함대의 해군 지휘관인 아르테미시아 1세는 살라미스 해협에서의 전투가 불필요한 위험이라며 동맹군이 항복할 때까지 기다릴 것을 설득하려 했다.[38] 그러나 크세르크세스와 마르도니우스는 공격을 강행했다.[39]

전투 직전, 크세르크세스에게 동맹 지휘부의 분열에 대한 정보가 전달되기 시작했다. 펠로폰네소스인들은 살라미스에서 대피하고 싶어했다.[40] 이러한 분열은 페르시아군을 전투로 유인하기 위한 속임수였을 수도 있고,[1] 페르시아군의 공격적인 기동에 대한 대응이었을 수도 있다.[1] 크세르크세스는 함대에 살라미스 해안 순찰과 남쪽 출구 봉쇄를 명령하고, 황혼에 철수 명령을 내려 동맹군을 유인하려 했다.[41]

그날 저녁 테미스토클레스는 하인 시시누스를 통해 크세르크세스에게 자신이 "'왕의 편에 서서 헬레네인보다 당신의 일을 선호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했다.[42] 테미스토클레스는 연합 지휘부가 내분 상태이며 펠로폰네소스인들이 대피할 계획이므로, 페르시아군이 해협을 막으면 승리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1] 이는 크세르크세스가 듣고 싶어했던 소식이었고, 페르시아 함대는 봉쇄를 위해 파견되었다.[43] 크세르크세스는 아이갈레오 산 경사면에 왕좌를 설치하여 전투를 관전하고, 뛰어난 지휘관들의 이름을 기록하도록 했다.[1]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동맹군은 저녁에 격렬한 논쟁을 벌였다.[44] 펠로폰네소스인들은 대피를 찬성했지만,[45] 추방된 아테네 장군 아리스티데스가 페르시아 함대의 배치에 대한 소식을 가지고 탈주병들과 함께 도착하면서,[46][47] 펠로폰네소스인들은 탈출할 수 없음을 깨닫고 전투를 받아들였다.[1] 그러나 펠로폰네소스인들이 테미스토클레스의 책략에 참여했을 가능성도 있다.[48] 연합 해군은 전투를 대비할 수 있었고, 페르시아군은 밤새 헛되이 그리스군의 대피를 찾았다. 다음날 아침, 페르시아군은 해협으로 진입하여 그리스 함대를 공격했다.[49]

4. 2. 전투의 전개

테미스토클레스의 속임수로 페르시아 함대는 살라미스 해협에 진입하여 두 입구를 막으려 하였다. 그러나 해협이 너무 비좁았기 때문에 페르시아의 군함들이 이동하려 하면서 흩어져버려 오히려 이들의 수적 우세는 장애가 되어버렸다.[1] 기회를 놓치지 않고 그리스 함대는 전열을 이루어 페르시아에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으며, 최소한 200여척이 넘는 페르시아 함선이 침몰하거나 나포되었다.

연합 함대의 경우 아테네인들은 좌익에, 스파르타인들은 우익에 배치되었고,[1] 다른 부대들은 중앙에 있었다.[1][100] 연합 함대는 2열 종대로 편성되었을 가능성이 높다.[101] 헤로도토스는 연합 함대가 남북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었다고 한다.[102]

페르시아 함대는 전투 전날 저녁에 해협 출구를 막기 위해 파견되었을 것으로 보인다.[103] 현대 역사가들은 이 점에 대해 격렬하게 논쟁을 벌였다.[1][104] 페르시아 함대는 3열로 편성된 것으로 보이며,[1] 페니키아 함대가 우익에, 이오니아 부대가 좌익에 배치되었다.[106] 크세르크세스는 프시탈레이아 섬에 약 400명의 병력을 배치하여 난파나 좌초로 인해 그곳에 도착한 그리스인들을 죽이거나 포획하도록 했다.[1]

페르시아군이 해협에 들어선 시각과 관계없이, 그들은 날이 밝을 때까지 동맹군을 공격하지 않았다. 동맹군은 밤을 새워 전투를 준비할 수 있었고, 테미스토클레스의 연설 후, 해병들이 배에 탑승하고 함선은 출항 준비를 마쳤다.[108]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동맹군이 ''"바다로 나아가자마자 야만인들이 즉시 그들을 공격했다"''.[1][1]

아이스킬로스는 페르시아군이 접근했을 때, 동맹 함대를 보기 전에 그리스인들이 전투 찬가(페안)를 부르는 소리를 들었다고 주장한다.

{{blockquote|오 파이데스 헬레논 이테/ὦ παῖδες Ἑλλήνων ἴτεgrc

엘류테루테 파트리드, 엘류테루테 데/ἐλευθεροῦτε πατρίδ᾽, ἐλευθεροῦτε δὲgrc

파이다스, 귀나이카스, 테온 테 파트로이온 헤데,/παῖδας, γυναῖκας, θεῶν τέ πατρῴων ἕδη,grc

테카스 테 프로고논: 뉜 휘페르 판톤 아곤.}}

오 그리스의 아들들이여, 가라,

너희 조국을 해방시키고,

너희 자녀, 너희 아내, 너희 아버지의 신들의 자리를,

그리고 너희 조상들의 무덤을 해방하라: 지금 모든 것을 위한 투쟁이다.
[109]/θήκας τε προγόνων: νῦν ὑπὲρ πάντων ἀγών.grc

혼잡한 해협에서 동맹 함대에 접근하면서, 페르시아군은 좁은 해역에서 혼란스럽고 비좁아진 것으로 보인다.[1][1] 게다가, 그리스 함대가 정렬되어 그들을 공격할 준비가 되어 있다는 것이 분명해졌을 것이다.[101][1] 동맹군은 처음에는 두려움에 질린 듯이 함선을 물렸다.[112] 플루타르코스에 따르면, 이는 더 나은 위치를 확보하고, 이른 아침 바람이 불 때까지 시간을 벌기 위한 것이었다.[113] 헤로도토스는 함대가 물러섰을 때, 한 여인의 환영이 나타나 "미친 자들아, 너희는 얼마나 더 함선을 물릴 것이냐?"라고 물었다는 전설을 전한다.[114] 그러나 그는 더 그럴듯하게 동맹군이 후퇴하는 동안, 한 척의 함선이 앞으로 돌진하여 가장 가까운 페르시아 선박을 들이받았다고 말한다. 그 후 모든 그리스 전열이 이를 따랐고, 혼란스러운 페르시아 전투 대형으로 곧장 향했다.[115]

살라미스 해전 초기에 사망한 페르시아 제독 아리아비그네스; 1910년경 ''소년 소녀를 위한 플루타르크 영웅전''의 삽화


기원전 480년 9월 20일경(29일 설도 있음) 새벽, 테미스토클레스의 훈시 이후 그리스의 모든 함선은 정박지에서 일제히 출격했다. 페르시아 함대는 그리스 함선의 출격을 알자 키노스라 반도를 넘어 살라미스 해협으로 침입했다.

그리스군은 페르시아 함대를 확인하자 역노를 저어 페르시아 함대와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움직임을 보였다. 이에 대해 플루타르코스는 테미스토클레스가 이 해협에 특정 시간이 되면 부는 바람 (시로코)을 이용하기 위해 페르시아 함대를 앞에 두고 역노를 저어 후퇴하며 시간을 벌었다고 설명했다.

나머지 전투의 세부 사항은 대체로 개략적이며, 관련된 그 누구도 전체 전장을 조망할 수 없었을 것이다.[1] 삼단 노선은 전면에 큰 충각을 장착하여 적 함선을 침몰시키거나 무력화하는 것이 가능했다.[1][116] 초기 충돌이 성공적이지 못하면 해병대가 적 함선에 탑승하여 육상 전투와 유사한 상황이 벌어졌다.[1] 양측 모두 해병대를 함선에 배치했다. 그리스군은 호플리테로 구성되었고,[1] 페르시아군은 더 가볍게 무장한 보병으로 구성되었을 것이다.[117]

전장 전체에서, 페르시아 함대의 첫 번째 전열이 그리스군에 의해 밀려나면서, 그들은 전진하는 자체 함대의 두 번째 및 세 번째 전열에 엉키게 되었다.[118] 그리스 좌측에서, 페르시아 제독 아리아비그네스(크세르크세스의 형제)[1]는 전투 초기에 사망했다. 지휘 체계가 무너지고 지도자가 없어지면서, 페니키아 함대는 해안으로 밀려나 많은 배들이 좌초된 것으로 보인다.[1] 중앙에서, 그리스 함선의 쐐기가 페르시아군의 대열을 뚫고 들어가 함대를 둘로 갈랐다.[1]

플루타르크에 따르면, 아리아비그네스는 아테네의 아메이니아스와 팔레네의 소클레스()에 의해 살해되었다. 아리아비그네스가 그들의 배에 탑승하려 하자, 그들은 그에게 창을 던져 바다로 밀어 넣었다.[119]

헤로도토스는 할리카르나소스의 여왕이자 카리아 분견대의 지휘관인 아르테미시아 1세가 아테네의 아메이니아스가 이끄는 배에 쫓기는 상황에 처했다고 전한다. 탈출하려는 그녀는 다른 페르시아 선박을 공격하고 충돌하여 아테네 선장이 그 배가 아군이라고 믿게 만들었다.[122] 크세르크세스는 다른 함장들의 저조한 성과를 보고 "내 부하들은 여자가 되었고, 내 여자들은 남자가 되었다"고 말했다.[123]

페르시아 함대는 팔레룸 방향으로 퇴각하기 시작했지만,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아이기나인들이 해협을 빠져나가려 하자 매복했다.[127] 남은 페르시아 함선들은 팔레룸 항구와 페르시아 군대의 은신처로 돌아갔다.[128] 그런 다음 아테네 장군 아리스티데스는 군대를 이끌고 프시탈레이아로 건너가 크세르크세스가 그곳에 남겨둔 수비대를 학살했다.[129]

헤로도토스는 페르시아군의 정확한 사상자 수를 언급하지 않았다. 그러나 그는 이듬해 페르시아 함대가 300척의 삼단 노선으로 구성되었다고 기록했다.[130] 페르시아 함대의 규모에 대한 추정치를 바탕으로 200~300척 정도가 손실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페르시아군은 대부분의 페르시아인들이 수영을 할 줄 몰랐기 때문에 그리스군보다 훨씬 더 많은 사상자를 냈다.[1]

style="text-align: center;" |
— 친(親) 헬레니즘 바이런 경(Lord Byron)의 돈 주앙에서


5. 전투 결과 및 영향

살라미스 해전에서 그리스 해군이 승리하면서 페르시아 전쟁은 전환점을 맞이했다. 크세르크세스는 전투 지속 의지를 상실하고 마르도니우스에게 육군을 맡긴 채 페르시아 함대와 함께 철수했다.[169] 그리스 함대는 안드로스까지 추격했으나, 테미스토클레스의 추격 주장은 에우리비아데스의 반대로 무산되었다.[174][175] 테미스토클레스는 크세르크세스에게 전령을 보내 자신이 페르시아 함대의 추격을 막았다고 알렸다.[170][175]

페르시아 원정군은 진격을 멈추고 교착 상태에 빠졌지만, 이듬해 마르도니우스가 이끄는 페르시아 군은 다시 아테네를 점령하기도 했다.[1] 그러나 크세르크세스의 전의 상실과 지리적 불리함으로 인해 페르시아는 어려운 입장에 놓였다.

살라미스 해전 이후 테미스토클레스의 개선. 19세기 삽화.


살라미스 해전을 곶에서 바라보는 크세르크세스의 분노, 빌헬름 폰 카울바흐의 작품 (세부).


기원전 479년, 플라타이아이 전투에서 그리스 연합군은 페르시아 육군을 대파하고,[136] 미칼레 해전에서는 연합 함대가 남은 페르시아 함대의 대부분을 파괴하여 그리스 침공을 종식시켰다.[1]

뱀 기둥, 승리한 동맹국이 플라타이아 전투 이후 헌정한 동맹 기념물, 현재 콘스탄티노플의 히포드롬에 위치함


이 전투의 승리로 아테네는 강력한 해상 국가로 성장했다. 테미스토클레스는 안드로스 섬을 점령하고 페르시아 측 폴리스들로부터 금품을 갈취했으며,[171][176] 피레아스를 정비하고 아테네와 연결하는 성벽을 건설했다.[177] 그러나 그는 도편 추방으로 추방되었고, 이후 아리스테이데스가 아테네의 지도자가 되어 델로스 동맹을 결성했다.[172]

살라미스 해전은 그리스-페르시아 전쟁의 권력 균형을 그리스 쪽으로 이동시켰으며,[140] 이후 델로스 동맹을 통해 에게해 제도에서 페르시아의 세력을 크게 감소시켰다.[139]

5. 1. 그리스-페르시아 전쟁의 전환점

살라미스 해전에서 그리스 해군이 승리하면서 페르시아 전쟁은 전환점을 맞이했다. 크세르크세스는 전투 지속 의지를 상실하고 마르도니우스에게 육군을 맡긴 채 페르시아 함대와 함께 철수했다.[169] 그리스 함대는 안드로스까지 추격했으나, 테미스토클레스의 추격 주장은 에우리비아데스의 반대로 무산되었다.[174][175] 테미스토클레스는 크세르크세스에게 전령을 보내 자신이 페르시아 함대의 추격을 막았다고 알렸다.[170][175]

페르시아 원정군은 진격을 멈추고 교착 상태에 빠졌지만, 이듬해 마르도니우스가 이끄는 페르시아 군은 다시 아테네를 점령하기도 했다.[1] 그러나 크세르크세스의 전의 상실과 지리적 불리함으로 인해 페르시아는 어려운 입장에 놓였다.

기원전 479년, 플라타이아이 전투에서 그리스 연합군은 페르시아 육군을 대파하고,[136] 미칼레 해전에서는 연합 함대가 남은 페르시아 함대의 대부분을 파괴하여 그리스 침공을 종식시켰다.[1]

이 전투의 승리로 아테네는 강력한 해상 국가로 성장했다. 테미스토클레스는 안드로스 섬을 점령하고 페르시아 측 폴리스들로부터 금품을 갈취했으며,[171][176] 피레아스를 정비하고 아테네와 연결하는 성벽을 건설했다.[177] 그러나 그는 도편 추방으로 추방되었고, 이후 아리스테이데스가 아테네의 지도자가 되어 델로스 동맹을 결성했다.[172]

살라미스 해전은 그리스-페르시아 전쟁의 권력 균형을 그리스 쪽으로 이동시켰으며,[140] 이후 델로스 동맹을 통해 에게해 제도에서 페르시아의 세력을 크게 감소시켰다.[139]

5. 2. 아테네의 부상과 델로스 동맹

살라미스 해전의 승리는 그리스-페르시아 전쟁의 결정적인 전환점이었다. 이 전투로 아테네는 강력한 해상 국가로 성장하는 발판을 마련했다. 전투 후 페르시아군은 북쪽으로 후퇴했지만, 여전히 강력한 세력을 유지하고 있었고 이듬해 아테네를 다시 점령하기도 했다.[137] 그러나 크세르크세스의 전쟁 의지는 꺾였고, 지리적 이점을 가지지 못한 페르시아 원정군은 점차 어려운 입장에 처하게 되었다.[138]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당시 아테네의 지도자였던 테미스토클레스는 안드로스 섬을 포위, 점령하고, 이를 거점으로 페르시아 측에 가담한 다른 섬들로부터 금품을 징수했다.[176] 플루타르코스는 테미스토클레스가 그리스 함대가 월동을 위해 파가사이에 정박했을 때, 이를 불태우고 아테네 함대만 남겨두려 했다고 전한다.[177] 테미스토클레스는 아테네 함대 건조를 주도했으며, 전투 후 외항인 피레아스를 정비하고 아테네 시가지와 연결하는 성벽을 건설하는 업적을 남겼다. 그러나 독선적인 태도로 인해 참주에 대한 욕망으로 의심받아 도편추방되었고, 반역죄로 기소되어 페르시아로 망명했다.[172]

테미스토클레스가 추방된 후, 아리스테이데스가 아테네의 지도자가 되었다. 그는 페르시아의 침략에 대비하여 폴리스 연합체인 델로스 동맹을 결성했다.[139] 아리스테이데스는 함선을 제공할 수 없는 폴리스에게 군비를 납부하도록 하였고, 이 상납금은 이후 아테네가 독점하여 아테네 부상의 자금원이 되었다.

살라미스 해전 이후 그리스는 페르시아의 위협에서 벗어났고, 델로스 동맹을 통해 에게 해에서 페르시아의 세력을 크게 감소시켰다.[140]

5. 3. 역사적 의의와 한국사에 미친 영향

살라미스 해전은 그리스-페르시아 전쟁의 결정적인 전환점으로, 그리스의 승리는 서구 문명의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페르시아의 패배로 그리스는 정복의 위험에서 벗어났고,[137] 이후 플라타이아 전투와 미칼레 전투에서 그리스 연합군은 반격을 가할 수 있게 되었다.[138] 그리스의 승리로 마케도니아는 페르시아 지배에 반란을 일으켰고, 이후 30년 동안 트라키아, 에게해 제도, 이오니아델로스 동맹에 의해 페르시아의 지배에서 벗어났다.[139] 이는 에게해에서 페르시아의 세력을 크게 감소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140]

마라톤 전투테르모필레 전투처럼, 살라미스 해전은 절박한 상황과 불가능해 보이는 역경 때문에 '전설적인' 지위를 얻게 되었다.[141] 많은 역사가들은 이 해전이 인류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전투 중 하나라고 평가한다.[142][143][99] 만약 그리스가 이 해전에서 패배했다면, 서구 문명의 성장이 억제되었을 것이라는 주장도 제기된다.[144] 이는 철학, 과학, 개인의 자유, 민주주의 등 현대 서구 사회의 많은 부분이 고대 그리스의 유산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전제에 기반한다.[1] 페르시아의 그리스 지배가 인류 역사의 궤적을 바꿨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1] 아테네 문화의 번성은 페르시아 전쟁에서 승리한 "후"에 일어났다.[145][146][147]

군사적으로 볼 때, 살라미스 해전은 지형을 활용하여 수적 열세를 극복한 사례로 평가된다.[148] 테미스토클레스는 기만술을 사용하여 페르시아 함대를 유인하는 데 성공했다.

플루타르코스에 따르면, 키몬은 이 전투에서 용맹함을 보여 아테네인들 사이에서 명성을 얻었고, 이는 훗날 그가 정치 경력을 시작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149]

그리스 함대는 이 전투가 끝났다고 생각하지 않았지만, 크세르크세스는 전투 의지를 완전히 상실했다. 그리스 함대는 안드로스까지 추격했지만, 군의를 열어 향후 대응에 대해 협의했다.[169] 테미스토클레스는 즉시 크세르크세스를 추격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에우리비아데스는 페르시아 측의 반격을 우려하여 이를 만류했다. 테미스토클레스는 크세르크세스에게 전령을 보내 자신이 페르시아 함대의 추격을 막았다고 알렸다.[170]

살라미스 해전에서 그리스 해군의 승리로 페르시아 원정군의 진격은 멈추고 페르시아 전쟁은 교착 상태에 빠졌다. 그러나 페르시아 군의 세력은 여전히 건재했고, 이듬해 아테네는 다시 점령당했다. 크세르크세스의 전의는 꺾였고, 지리적 이점도 없는 페르시아 원정군은 점차 어려운 입장에 놓이게 되었다.

아테네는 이 전투의 승리로 강력한 해상 국가로 성장하는 중요한 계기를 맞았다.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테미스토클레스는 안드로스 섬을 포위하여 점령하고, 페르시아 측에 붙었던 다른 도서부 폴리스들로부터 금품을 갈취했다.[171] 플루타르코스에 따르면, 테미스토클레스는 아테네 함대만을 남기려 했다.[172] 그는 아테네 함대 건조의 제창자였으며, 외항 피레아스를 정비하고 아테네 시가지와 성벽으로 연결하는 등의 공적을 남겼다. 그러나 독선적인 태도로 도편 추방되었고, 반역죄로 기소되어 페르시아로 도망했다. 테미스토클레스의 추방 이후 아리스테이데스가 아테네의 지도자가 되었고, 델로스 동맹을 결성하여 페르시아의 침략에 대비했다. 그는 함선을 제공할 수 없는 폴리스에 상납금을 부과했고, 이는 아테네 부상의 자금원이 되었다.

6. 기타

6. 1. 유물 발굴

2017년 3월 17일, 고고학자들은 살라미스 해전 이전에 그리스 군함이 정박지로 사용했던, 부분적으로 물에 잠긴 유적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고대 정박지는 살라미스 섬 해안의 암벨라키-키노사우루스 유적지에 위치한다.[150]

참조

[1] 간행물 Gongaki 2021
[2] 간행물 Ιστορία του Ελληνικού Έθνους 1971
[3] 간행물 Demetrius 1998
[4] 간행물 Lazenby
[5] 서적 Ancient Greece from Homer to Alexander: The Evidence Wiley-Blackwell 2011
[6] 웹사이트 Battle of Salamis: 480 BC https://www.oxfordbi[...] 2020-09-24
[7] 서적 The Greeks: A Global History Basic Books
[8] 웹사이트 Darius I, DNa inscription, Line 28 https://www.livius.o[...]
[9] 서적 Persian Fire Abacus 2005
[10] 웹사이트 V, 105 https://www.perseus.[...] Herodotus
[11] 간행물 Holland
[12] 웹사이트 VI, 44 https://www.perseus.[...] Herodotus
[13] 간행물 Holland
[14] 웹사이트 VI, 101 https://www.perseus.[...] Herodotus
[15] 웹사이트 VI, 113 https://www.perseus.[...] Herodotus
[16] 간행물 Holland
[17] 간행물 Holland
[18] 간행물 Holland
[19] 간행물 Holland
[20] 웹사이트 VII, 35 https://www.perseus.[...] Herodotus
[21] 간행물 Holland
[22] 웹사이트 VII, 32 https://www.perseus.[...] Herodotus
[23] 웹사이트 VII, 145 https://www.perseus.[...] Herodotus
[24] 간행물 Holland
[25] 간행물 Holland
[26] 웹사이트 VII, 173 https://www.perseus.[...] Herodotus
[27] 간행물 Holland
[28] 웹사이트 VIII, 40 https://www.perseus.[...] Herodotus
[29] 간행물 Holland
[30] 웹사이트 VIII, 18 https://www.perseus.[...] Herodotus
[31] 웹사이트 VIII, 21 https://www.perseus.[...] Herodotus
[32] 서적 A Political History of the Achaemenid Empire https://books.google[...] E. J. Brill 1989
[33] 웹사이트 VIII, 50 https://www.perseus.[...] Herodotus
[34] 웹사이트 VIII, 71 https://www.perseus.[...] Herodotus
[35] 간행물 Holland
[36] 웹사이트 VIII, 63 https://www.perseus.[...]
[37] 서적 pp.164–167
[38] 웹사이트 VIII, 68 https://www.perseus.[...]
[39] 웹사이트 VIII, 69 https://www.perseus.[...]
[40] 웹사이트 VIII, 74 https://www.perseus.[...]
[41] 서적 pp.310–315
[42] 웹사이트 VIII, 75 https://www.perseus.[...]
[43] 웹사이트 VIII, 76 https://www.perseus.[...]
[44] 웹사이트 VIII, 78 https://www.perseus.[...]
[45] 웹사이트 VIII, 70 https://www.perseus.[...]
[46] 웹사이트 VIII, 81 https://www.perseus.[...]
[47] 웹사이트 VIII, 82 https://www.perseus.[...]
[48] 서적 p.316
[49] 서적 p.318
[50] 웹사이트 VIII, 44–48 https://www.perseus.[...]
[51] 서적 e.g., Macaulay, in a note accompanying his translation of Herodotus VIII, 85
[52] 웹사이트 VIII, 82 https://www.perseus.[...]
[53] 서적 The Persians
[54] 뉴스 A Layered Look Reveals Ancient Greek Texts https://www.nytimes.[...] 2006-11-27
[55] 서적 pp.226–227
[56] 웹사이트 VIII, 44 https://www.perseus.[...]
[57] 웹사이트 VIII, 1 https://www.perseus.[...]
[58] 웹사이트 VIII, 43 https://www.perseus.[...]
[59] 웹사이트 VIII, 46 https://www.perseus.[...]
[60] 웹사이트 VIII, 45 https://www.perseus.[...]
[61] 웹사이트 VIII, 48 https://www.perseus.[...]
[62] 웹사이트 VIII, 47 https://www.perseus.[...]
[63] 웹사이트 VII, 89 https://www.perseus.[...]
[64] 웹사이트 VII, 188 https://www.perseus.[...]
[65] 웹사이트 VIII, 14 https://www.perseus.[...]
[66] 웹사이트 VIII, 11 https://www.perseus.[...]
[67] 웹사이트 VIII, 60 https://www.perseus.[...]
[68] 웹사이트 VII, 185 https://www.perseus.[...]
[69] 서적 The Persians
[70] 웹사이트 XI, 3 https://www.perseus.[...]
[71] 문서 Lysias II, 27
[72] 문서 Ephorus, Universal History
[73] 문서 Isocrates, Oration VII, 49
[74] 문서 Isocrates, Oration IV, 93
[75] 웹사이트 Persica https://www.livius.o[...] Ctesias 2020-10-09
[76] 문서 Plato, Laws III, 699
[77] 서적 Histories https://books.google[...] Hackett Publishing 2014
[78] 문서 Köster (1934)
[79] 문서 Holland, p.394
[80] 문서 Lazenby, pp.93–94
[81] 문서 Green, p.61
[82] 문서 Burn, p.331
[83] 문서 Ιστορία του Ελληνικού Έθνους 1971
[84] 문서 Demetrius, 1998
[85] 문서 Lazenby p.174
[86] 문서 Holland, pp.209–212
[87] 문서 Holland, pp.327–329
[88] 문서 Holland, pp.308–309
[89] 문서 Lazenby, p.197
[90] 문서 Holland, p.303
[91] 웹사이트 VIII, 68 https://www.perseus.[...] Herodotus
[92] 문서 Holland, p.303
[93] 문서 Lazenby, p.138
[94] 문서 Holland, pp.222–224
[95] 문서 Lazenby, pp.34–37
[96] 웹사이트 VIII, 60 https://www.perseus.[...] Herodotus
[97] 문서 Lazenby, p.150
[98] 문서 Lazenby, pp.248–253
[99] 문서 Holland, p.399
[100] 웹사이트 Biblioteca Historica https://www.perseus.[...] Diodorus Siculus
[101] 문서 Lazenby, p.187
[102] 문서 Lazenby, pp.184–185
[103] 웹사이트 VIII, 76 https://www.perseus.[...] Herodotus
[104] 문서 Lazenby, p.181
[105] 문서 Lazenby, pp.174–180
[106] 서적 Herodotus https://www.perseus.[...]
[107] 서적 Diodorus Siculus, Biblioteca Historica https://www.perseus.[...]
[108] 서적 Herodotus https://www.perseus.[...]
[109] 간행물 Aesch. Pers. 402-5 http://www.perseus.t[...]
[110] 서적 Herodotus https://www.perseus.[...]
[111] 서적 Holland
[112] 서적 Herodotus https://www.perseus.[...]
[113] 서적 Plutarch. Themistocles
[114] 서적 Herodotus https://www.perseus.[...]
[115] 서적 Herodotus https://www.perseus.[...]
[116] 서적 History Alive! The Ancient World https://archive.org/[...] Teachers Curriculum Institute
[117] 서적 Herodotus https://www.perseus.[...]
[118] 서적 Herodotus https://www.perseus.[...]
[119] 웹사이트 Themistocles By Plutarch http://classics.mit.[...]
[120] 서적 Plutarch Parallel Lives Themistocles
[121] 서적 Altpreussische Monatsschrift Nene Folge p.300 https://books.google[...]
[122] 서적 Herodotus https://www.perseus.[...]
[123] 서적 Herodotus https://www.perseus.[...]
[124] 웹사이트 Herodotus Book 8: Urania ,87 http://www.sacred-te[...]
[125] 웹사이트 Polyaenus: Stratagems- BOOK 8, 53.2 http://www.attalus.o[...]
[126] 웹사이트 Herodotus Book 8: Urania,88 http://www.sacred-te[...] Sacred-texts.com 2014-03-07
[127] 서적 Herodotus https://www.perseus.[...]
[128] 서적 Herodotus https://www.perseus.[...]
[129] 서적 Herodotus https://www.perseus.[...]
[130] 서적 Herodotus https://www.perseus.[...]
[131] 서적 Lord Byron, Don Juan
[132] 서적 Herodotus https://www.perseus.[...]
[133] 웹사이트 Diodorus Siculus, Library, Book XI, Chapter 19, section 4 https://www.perseus.[...] Perseus.tufts.edu 2013-10-21
[134] 서적 Herodotus https://www.perseus.[...]
[135] 서적 Herodotus https://www.perseus.[...]
[136] 서적 Holland
[137] 서적 Holland
[138] 서적 Lazenby
[139] 서적 Holland
[140] 서적 Holland
[141] 서적 Holland
[142] 서적 Hanson
[143] 서적 Strauss
[144] 서적 Discussed by Green (The Year of Salamis) and Holland
[145] 웹사이트 The Fabulous Fifth Century: Athens During the Age of Pericles - II. Greek Society After the Persian Wars http://www.molloy.ed[...] Molloy.edu 2011-05-29
[146] 웹사이트 Greek Society After the Persian Wars http://www.hermes-pr[...] Hermes-press.com 2011-05-29
[147] 웹사이트 The Persian War in ancient Greece http://www.essortmen[...] Essortment.com 1986-05-16
[148] 서적 Lazenby
[149] 문서 Plutarch, Lives. "Life of Cimon" https://www.ucalgary[...]
[150] 웹사이트 Archaeologists say they've uncovered site where ancient Athenian fleet docked before Battle of Salamis http://www.naftempor[...] Naftemporiki 2017-03-17
[151] 서적 Ιστορία του Ελληνικού Έθνους 1971
[152] 서적 Demetrius 1998
[153] 서적 Lazenby
[154] 서적 Ancient Greece from Homer to Alexander: The Evidence Wiley-Blackwell 2011
[155] 문서 アテナイがファレロン湾を集結地と主張したのは、市民の避難と、最初からイストモスでの決戦を想定していたペロポネソス半島の諸都市を牽制する意味もあった(ヘロドトス『歴史(下)』p172)。そもそも、テルモピュライを突破された原因の一因は、イストモスでの防衛線を想定していたスパルタが陸上部隊の増援を行わなかったことにある。
[156] 서적 ヘロドトス『歴史(下)』
[157] 서적 ヘロドトス『歴史(下)』
[158] 서적 ヘロドトス『歴史(下)』
[159] 서적 ヘロドトス『歴史(下)』
[160] 서적 ヘロドトス『歴史(下)』
[161] 서적 ヘロドトス『歴史(下)』
[162] 서적 ヘロドトス『歴史(下)』
[163] 서적 河野与一訳『プルターク英雄伝』
[164] 서적 ヘロドトス『歴史(下)』
[165] 서적 ヘロドトス『歴史(下)』
[166] 서적 仲手川良雄『テミストクレス』
[167] 문서 強い西風が吹いていたことは、ヘロドトスの、艦艇の破片が西風によってファレロン湾のコリアスという浜に打ち上げられたという記述、そしてペルシア艦艇が順風に乗ってファレロンまで後退したという記述に認められる(ヘロドトス『歴史(下)』p204)。
[168] 서적 ヘロドトス『歴史(下)』
[169] 서적 ヘロドトス『歴史(下)』
[170] 서적 ヘロドトス『歴史(下)』
[171] 서적 ヘロドトス『歴史(下)』
[172] 서적 河野与一訳『プルターク英雄伝(二)』
[173] 웹사이트 Herodotus http://www.perseus.t[...]
[174] 서적 헤로도토스 《히스토리아》
[175] 서적 헤로도토스 《히스토리아》
[176] 서적 히스토리아
[177] 서적 플루타르크 영웅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